독자후기

최○빈

‘디지털플랫폼’에 대한 칼럼을 보면서 느낀 점을 적어봅니다. 지방자치단체들이 빅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의사결정과 지역주민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플랫폼 구축에 나서고 있다는 점은 정말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여건이 차이가 많다는 점을 감안하여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디지털플랫폼에 대해 알게 된 유익한 칼럼이었습니다.

최♥선

‘리더 초대석’에서 소개된 <고향사랑기부제도>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인구감소와 지역경제 침체로 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을 돕기 위해 고향에 기부하면 세제 혜택과 답례품을 주도록 한 <고향사랑기부금법>이 내년부터 시행된다고 합니다. 김일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장님 말씀처럼 고향사랑기부제도가 지역발전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살린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국민들이 고향사랑기부제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인식 개선이 가장 필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이♣호

이번 <지역정보화 매거진>에 디지털플랫폼에 대한 많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좋았습니다. 유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정◊재

2023년부터 시행되는 <고향사랑기부제도>로 농어촌지역 청년인구의 유출로 지역경기가 침체되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위기에 처한 만큼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고향사랑기부제가 활성화 되어 청년들이 농어촌으로 유입되도록 기부제가 정착되길 바라며 우선 인구유입이 급선무인데 농어촌청년들의 25세 전후 결혼부부에게는 주택제공과 농업에 종사 및 주변 기업체에 우선 취업할 수 있도록 알선하고 5년 이상 농어촌에 거주하면 가산점을 부여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연구 실천할 수 있게 마련하였으면 합니다.

이▲지

<지역정보화 매거진>을 우연히 접하게 되었는데 분야별로 유익한 정보가 잘 정리되어 좋았습니다. 특히 지자체 우수 정보화 사례가 인상 깊었습니다. 앞으로도 지역주민의 필요와 특성을 반영한 서비스나 시스템이 더욱 확대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김♠경

저는 <지역정보화 매거진>의 열렬한 애독자입니다. 앞으로도 <지역정보화>가 저와 같은 독자들에게 더 사랑받는 소식지가 되길 기대합니다.

박◊아

요즘 지방 인구 감소가 급박한 위기로 다가오는 것을 느낍니다. 제가 사는 도시도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요. 리더 초대석에 실린 고향사랑기부제도를 읽고 정말 기발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주민 소득 증대에도 기여하고 균형 발전도 달성할 수 있는 창의적인 제도라고 생각합니다. 새롭고 다양한 제도를 알려주는 <지역정보화 매거진>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