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1에서는 지난 9월 26,27일 개최된 제39회 지역정보화 연구과제 발표대회 수상작을 소개합니다.
올해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지역 경제는 시대의 변화와 외부요인으로 성장과 정체 그리고 쇠퇴의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오랜 시간에 걸쳐서 번영한 지역이라 할지라도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쇠퇴 또는 침체의 길로 들어서는 현상은 막을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다. 이와 관련, 양산시는“양산시 인구유인력 빅데이터 분석사업”을 통해 경상남도 전체 시군구 지역경제 변동 분석, 인구구조, 산업경제, 혁신·창업, 인재유인력 특성, 미래유망산업 선정 등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빅데이터 분석은 50만 중견도시로 진입과 지역 발전의 핵심요인은 “인재육성에 있다”는 인식을 통해, 생산 가능한 인재가 양산시에 지속적으로 유인될 수 있는 정책 수립을 목표로 하였다.
양산시는 인재들이 경제활동을 하기 위해 요구되는 환경으로 전환하고, 지역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지역경제, 인구구조 등 기초분석 4가지와 인재 유인 정책 도출 을 위한 실행계획 2가지를 합하여 총 6대 연구과제를 선정하였다. 데이터를 중심으로 양산시 경제 분야에 대한 정밀 진단하고자 지역경제 변동경로, 인구구조, 산업경제, 혁신성장 경쟁력을 기초분석하였다.
첫번째 양산시 지역경제 변동경로 분석은 20년간의 지역경제 변동경로를 추적하여 그 특징을 도출, 지역경제 기여도가 높은 생산가능인구와 지역경제를 대표하는 지역 총생산(GRDP) 데이터를 시기별 및 시계열의 양산 경제 변동 경로를 파악하였다.
양산시의 유망산업으로 선택된 업종은 신성장 산업과 연관되어 미래 성장 동력으로써 성장 가능한 산업이다. 또한, 선정된 미래유망 산업의 기술 수준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써 전환 가능한 산업이고 고학력 인재들의 청년 일자리 육성에도 크게 이바지될 것이다. 하지만, 최근 저성장 발전을 보인 양산시 산업의 변화된 기술상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역산업구조를 선도하는 산업을 확인할 수 있는 “산업선도성(a)”과 지역경제의 연결을 확인할 수 있는 “개방혁신성(b)”이 하락하는 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산시는 중저기술 산업을 중심으로 중고기술 산업이 주도하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지만, 고기술 산업의 영향력 감소와 연구기관과 지역 대학의 역할 축소로 산업구조의 혁신요소가 사라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현상은 제조업 기반 양적으로 성장한 양산시 산업구조가 양적 성장을 고집하고 있다는 신호이며,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 전환을 위해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숙제이다.
경제·인구·산업·경제력 분석 등 6대 연구과제(기초분석, 실행계획분석)를 위하여 766,979건의 공공데이터와 민간데이터를 이용하였고 데이터 기반으로 지자체의 특성을 객관화할 수 있었다.
분석과정에서 정책적 결정권자인 국·과장 대상 설문조사와 데이터를 기반한 분석자료를 공유함으로써 역외에서 인재가 유입되어야 하며 인재를 유입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내·외부 정책 반영할 수 있어 행정의 신뢰도가 향상되었다.
2021년 1월부터 7월까지 6개월간(47건 이상) 지역경제, 인구 구조, 경제, 혁신성장, 인재유인력, 6대 유망산업 순으로 단계별 분석 결과 브리핑을 통해 장기간 기획보도를 추진하였고 정책 관리자, 시의원, 지역주민 공감대 형성할 수 있었다. 양산시 어곡산단협의회, 김해시(일자리 분석), 경상남도(인구 분석)을 위한 자료 제공하는 등 내·외부로 공유하였다. 이번 연구과제에 대한 다수의 자치단체에서 사업에 대한 문의와 자료요청을 고려할 때 인구감소가 뚜렷한 자치단체는 지역의 특수성에 맞는 인구유인력 분석으로 정책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경제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로 일자리 정책, 기업 유치 등 공모사업에 활용할 수 있었고 그 결과 산업통상자원부 “2023년 지역거점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사업”에 「재사용 배터리 적용 E-모빌리티산업 생태계 활성화 사업」 선정되었다.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비수도권 시·도를 대상으로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과 역량을 활용하여 지역산업의 고도화, 다각화 및 전환을 추진함으로써 지역에 최적화된 혁신성장 기반을 구축하는 국비 공모사업이다. 이 사업은 전기 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를 재조립, 재사용하여 소형 전기차, 전기이륜차 등 E-모빌리티에 적용하는 사업으로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 국비 100억, 지방비 92억원을 투입하여 경남·부산지역 재사용 배터리사업 거점지원센터를 건립, 재사용 배터리 성능평가 장비 등을 갖추고 시제품 제작, 기술지원, 기술사업화 등 기업지원 사업과 재사용배터리 및 E-모빌리티 개발 전문인력 양성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3년간 192억 규모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 산업 육성할 수 있어 양산시가 재사용 배터리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회를 맞았고 관내 연구센터 건립 등 클러스터 생태계 구축할 수 있는 성과를 달성하였다.